본문 바로가기

시설관리

전기설비 기술기준의 용어 개념

1. 전차선의 가선방식:
전차선은 철도에서 전기 기차를 구동하기 위한 전력 공급선입니다.
가선방식은 전차선과 지지선(가선) 사이에 전류를 공급하는 방식입니다.


2. 수소냉각방식 발전기:
수소를 냉각재로 사용하여 발전기를 냉각하는 방식입니다.
수소는 높은 열전도성을 가지고 있어 발전기 내부의 열을 효과적으로 분산시킵니다.


3. 저압전로의 보호도체:
저압 전로는 주택이나 상업용 건물에 전력을 공급하는 전선입니다.
보호도체는 전선을 물리적으로 보호하고 안전을 유지하는 역할을 합니다.


4. 중선선의 접속방식:
중선선은 전력 공급을 위한 중압 전선입니다.
접속방식은 중선선과 다른 전선을 연결하는 방법을 의미합니다.


5. 교통신호등의 사용전압:
교통 신호등은 도로 교통을 조절하는 시설입니다.
일반적으로 교통 신호등은 110V 또는 220V의 사용전압을 가집니다.


6. 터널안 전선로 이격거리:
터널 내에서 전선로를 설치할 때, 안전한 거리를 유지해야 합니다.

 

7. 저압절연전선:
저압 전로에서 사용되는 절연된 전선입니다.


8. 전력용 캐패시터:
전력 시스템에서 전압 안정화 및 전력 요구량 조절을 위해 사용되는 장치입니다.


9. 태양광설비의 계측장치:
태양광 발전 시스템의 성능을 모니터링하고 제어하는 장치입니다.


10. 특고압 보안공사:
고압 전선로의 보안을 위한 작업입니다.


11. 전로의 절연저항:
전선로의 절연 상태를 나타내는 값입니다.


12. 금속제 가요전선관공사:
금속제 가요전선관을 설치하는 작업입니다.


13. 리플프리직류:
리플 프리 직류는 교류 전원을 정류하여 직류로 변환하는 장치입니다.


14. 시가지등에서 특고압 가공전선의 시설:
도시 지역에서 고압 전선로를 설치하는 작업입니다.


15. 지선의 시설:
지역 내 작은 규모의 전선로를 설치하는 작업입니다.


16. 지중약전류전선의 유도장해 방지:
지중 전선로의 유도장해를 방지하기 위한 방법입니다.

 

17. 전력보안 통신선의 시설높이와 이격거리

전력보안통신선은 전력 시설과 통신선로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시설높이:
전력보안통신선의 시설높이는 지상에서부터 통신선로를 높이 설치하는 것을 의미합니다.
이것은 통신선로가 땅 위로 얼마나 떠 있는지를 나타내는 값입니다.
이격거리:
전력보안통신선과 다른 전선 또는 시설 사이의 거리를 의미합니다.
이격거리는 안전한 운영을 위해 규정되어 있으며, 통신선로와 전력선로 사이의 충돌을 방지하고 전기적 간섭을 최소화합니다.